본문 바로가기

육아4

형제, 자매끼리 자주 싸우는 이유와 해결 방법 부모는 아이가 가장 믿고 따르는 존재이며 피를 나눈 소중한 가족입니다. 부모가 자신을 아끼고 사랑한다는 사실을 잘 인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행복감과 자존감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러나 형제가 생기는 경우, 부모의 관심과 사랑이 둘로 나뉜 느낌을 받게 됩니다. 새롭게 동생이 태어나면 자신은 나 몰라라 하고 동생에게만 신경을 쏟는 기분이 들어 반항심이 생기고 형제, 자매간의 다툼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형제, 자매끼리 싸우는 원인 아이의 입장에서는 형제가 경쟁자일 뿐이며, 특히 동생이 태어났을 때 경계심과 긴장감을 크게 느낍니다. 그래서 부모가 안 볼 때 동생을 때리거나 화풀이로 괴롭히는 행동을 보이는 것입니다. 또한 동생도 형, 누나의 이러한 행동에 불안감과 두려움을 느끼며 결국에는 서로 사이가 멀어지게 됩.. 2021. 4. 13.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아이, 문제점과 원인 해결 사람은 살면서 여러 감정을 느끼지만 그중에서도 부끄러움은 가장 감추고 싶은 감정입니다. 어른이 될수록 부끄러움이 점점 줄어들긴 하지만 아직 숫기가 없고 사람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잘 모르는 아이의 경우에는 더욱 쑥스러움을 자주 느낍니다. 어떻게 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유독 부끄러움을 잘 타는 아이가 있습니다. 이 감정은 주로 사람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망신을 당했다거나, 내 속마음을 비추고 싶지 않았는데 그 마음이 드러났다거나, 혹은 열등감을 느낄 때 나타납니다. 또한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부족하고, 어려운 사람과 함께 있으면 더욱 그 감정이 커지게 됩니다. 문제점 신생아는 부끄러움이라는 것을 모르지만, 평균적으로 4세에서 5세 정도가 되면 이 감정이 점차 두드러지게 .. 2021. 4. 11.
아이가 밥을 잘 안 먹는 이유, 억지로 먹이면 안돼요 사람이 생존하기 위해선 음식물이 필요하며, 특히 아이는 튼튼하게 성장하기 위해 밥을 제때 잘 먹어주어야 합니다. 식욕은 인간의 본성이며, 특히 어린아이의 몸은 영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섭취에 많이 신경을 써줘야 합니다. 육식을 하지 않는 스님들도 어린 동자승을 기를 때에는 고기를 섭취하도록 하며,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기 위한 재료를 공급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때로는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기도 하며 부모의 속을 썩이기도 합니다. 소리를 질러 대며 울고 있는데 밥을 주어도 제대로 먹지도 않고, 거부하기만 하니 부모로서 속이 타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억지로 먹이려고 하는 경우도 있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아이와 부모 모두 스트레스를 받기 마련입니다. 그렇기에 밥을 잘 안 먹는 이.. 2021. 3. 29.
부모한테 말대꾸하고 대드는 아이, 어떻게 훈육해야 할까 결혼해서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배우자와 함께 새로운 생활을 꾸려가면서 자연스레 소중한 첫 아이를 갖게 되는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기뻤던 순간도 잠깐, 귀여운 아이가 자라 대들면서 자꾸만 말대꾸하게 되면 어떻게 훈육해야 하는지 대처방법을 알지 못해 당황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부모의 숙제는 아이를 어떻게 하면 현명한 방법으로 잘 훈육시킬 수 있을지, 아이의 자립심을 길러주면서도 소중한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는지 고민해봐야 합니다. 부모는 아이의 본보기 통계에 의하면 부부의 행복지수는 처음 결혼을 한 후 약 몇 년간이 제일 높다고 합니다. 아이가 생긴 후부터 양육하는 기간 동안은 행복지수가 내려가며, 아이가 다 자란 후 어느덧 장년, 노년층이 되었을 때 다시 회복된다고 합니다. 그만큼 아이를.. 2021. 3. 28.